청주시는 침수 사태에 대비한 방재대책을 수립하라!
집중호우시 우수저류시설 정상작동 했는지 투명하게 공개해야
청주시의회는 인재(人災)의 요인에 대해 철저히 조사해야
청주 일대에 기록적인 폭우가 내린 지 열흘이 지났다. 행정안전부는 어제(27일) 충북 청주시와 괴산군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다. 이와 관련해 문재인 대통령은 “국가 위기 관리체계와 재해 재난 관리체계를 전체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태스크포스 팀 구성을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청주시의 대응은 소극적이기만 하다. 재난 매뉴얼과 우수처리시설 등이 정상적으로 가동됐으나 총 290㎜의 ‘물폭탄’이 쏟아졌기 때문에 속수무책이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피해 지역 주민들은 홍수 당일 청주시가 대피소 안내도 제대로 하지 않았다며 재난 매뉴얼 부재를 지적하고 있다. 특히 내덕1동과 충북대 정문앞 주민들은 우수저류시설이 만들어지면 상습침수지역의 오명에서 벗어나리라 기대했는데 똑같은 사태가 되풀이되는 건 구조적인 문제가 있다고 보고,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우리는 현장의 피해 복구 못지않게 제2의 침수 사태를 막기 위한 방재대책 수립이 중요하다고 보고, 다음과 같이 요구한다.
첫째, 청주시는 전문가와 시의회, 피해지역 주민들로 구성된 현장점검반을 구성해 우수저류시설이 제대로 작동했는지 여부를 투명하게 공개하여 관련 의혹을 해소할 것을 촉구한다.
둘째, 청주시의회는 피해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청취하여 침수 당시 청주시의 재난 매뉴얼이 정상 작동했는지, 장마철에 대비해 청주시가 사전에 하수시설 정비를 제대로 했는지 등 ‘인재(人災)’의 요인에 대해 철저히 조사하라.
셋째, 청주시는 침수 이후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는 싱크홀 현상 및 노후가옥 붕괴 등으로 후속 피해가 일어나지 않도록 철저히 대비하라.
넷째, 청주시는 더 이상 재난안전지역이 아님을 인식하고, 구체적인 침수 대응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존 시설을 어떻게 보강하고 추가로 어떤 설비를 마련해야 하는지 재난안전 로드맵을 마련하라.
2017년 7월 28일
충북·청주경실련
'보도자료 > 충북·청주경실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론문 요약] 청주권 집중호우 대책, 어떻게 마련할 것인가? (0) | 2017.09.06 |
---|---|
[토론회 발제문] 청주권 집중호우대책, 어떻게 마련할 것인가? (0) | 2017.09.05 |
[토론회 안내] 청주권 집중호우대책, 어떻게 마련할 것인가? (0) | 2017.09.04 |
논란만 키운 충북도의 청주 제2쓰레기매립장 주민감사청구 ‘각하’ 결정 (0) | 2017.08.16 |
청주시 우수저류시설 관리 현황 등 정보공개청구 결과 (0) | 2017.08.16 |
「미승인 LMO유채 불법확산」 대책 마련 촉구 (0) | 2017.07.28 |
2017 몬산토반대시민행진 - 충북에서는 올해가 처음 (0) | 2017.07.28 |
청주시는 제2쓰레기매립장 문제해결을 위한 대화에 나서라 (0) | 2017.07.20 |
수해피해 복구중 해외연수 떠난 충북도의원들은 즉각 사퇴하라! (0) | 2017.07.19 |
[시민토론회] 청주시청사, 어떻게 만들어 가야 하나? (0) | 2017.06.27 |
댓글